여름철 산업현장에서 제일 많은 문제가 되고, 관리자분들의 고민을 만드는 결로문제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먼저 결로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습도와 이슬점에 대해 알아보고 그 후에 결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일정한 공간속에 있는 공기에는 일정한 수증기가 존재하며, 이 수증기의 양에 따라 습한 정도를 습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습도는 크게 절대습도와 상대습도로 나뉘며, 습도가 높다는 것은 공기 중의 수증가기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절대습도
1㎥의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 양을 g으로 나타낸 값으로 수증기량이 많으면 절대습도 역시 올라가지만,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상대습도
현재 온도에서 최대로 포함할수 있는 수증기량에 실제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대습도는 온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아 습도수치가 변화합니다.
우리가 말하는 습도는 상대습도입니다.
공기 중에는 약간의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양은 온도에 따라서 최대 포함할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습니다.
포함할수 있는 양을 넘으면 그것이 바로 결로, 물방울로 맺히게 됩니다.
결로현상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서서히 냉각시켜 일정 온도에 다다르면 벽이나 바닥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데 이것이 이슬점 온도로, 이 이슬점 온도 아래로 떨어지면 모든 사물에는 결로현상이 발생합니다.
결로는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계절에 따라 구분되어집니다.
발생위치에 따라 표면결로, 내부결로로 구분됩니다.
일반적인 결로는 대부분 표면결로로 외벽이나 바닥, 천장 등 사물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합니다.
내부결로는 천장이나 벽 내부에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계절에 따라서는 겨울철에 발생하는 결로, 여름철에 발생하는 결로가 있습니다.
겨울철 결로는 주로 주거공간(아파트, 주택 등)에 발생하며, 여름철 결로는 산업현장(물류창고, 공장, 지하실, 지하주차장 등)에 발생을 합니다.
겨울철에 발생하는 결로는 대부분이 온도차에 의해 발생을 합니다.
외부의 한기, 냉기와 건물내부의 온기가 만나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일부 산업현장에서도 겨울철에 결로가 발생하기는 하는데, 철을 가공, 연마하는 공장에서는 원자재보다 가공되어 출고예정인 자재창고에 결로가 많이 발생을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가공된 자재들이 밤사이에 기온이 뚝 떨어져 수증기가 자자표면에 달라붙어서 결로가 발생을 하는 것입니다. 이 해결방법은 실내온도를 약간만 올려주면 됩니다.
겨울철 결로는 외부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결로가 발생할 확률은 높아집니다.
여름철에 발생하는 결로는 실내 높은 습도로 인하여 발생을 합니다.
대부분이 비가 오는 날이나 장마철에 발생합니다.
물류창고나 공장의 경우 외부의 높은 습도가 실내공간으로 유입이 되면 천장이나 벽면, 바닥에 결로가 발생을 합니다.
여름철 결로는 높은 습도로 발생하므로 습도를 낮춰주면 쉽게 해결이 됩니다.
지하주차장이나 지하기계실 등 지하에 위치한 경우에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지하로 유입되어 차가운 천장, 벽체, 바닥과 만나서 결로가 발생을 합니다.
특히 현장이 지하에 위치해 있다보니 공기의 순환도 어렵고, 공기 순환을 한다하더라도 공조기를 가동하면 습도가 높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더 많은 결로가 발생을 합니다.
결로는 시간상으로 보면 낮시간보다는 새벽시간대에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른 새벽에 안개가 발생하거나 풀입에 이슬이 맺히는 것도 모두 결로현상으로 새벽시간대에 출입문이나 창문을 모두 닫아야합니다.
같은 결로현상이라고 하더라도 겨울철 결로보다는 여름철 결로의 양이 더 많습니다.
1. 실내온도와 사물의 표면온도 차이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표를 보시면 상대습도가 75%이며, 실내온도가 25℃일 경우, 이슬점온도는 19.9℃로 표면온도가 이슬점온도 이하일때 결로가 발생을 합니다. 그러므로 표면온도를 20℃이상 유지해주면 결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난방기를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올려줘야하는데, 여름철에 난방기를 가동하는것은 힘들겠지요
2. 실내온도를 낮춰주는 방법입니다.
같은 상황일때 실내온도를 20℃로 낮춰주면 이슬점온도는 15.4℃로 떨어져서 결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같은 습도일지라도 실내온도가 낮아지면 이슬점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실내온도를 낮추는 방법은 에어컨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대형창고에 또는 지하주차장에 에어컨을 설치하여 가동하면 그 유지비는 정말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3. 마지막으로 실내공간의 습도를 낮춰주는 방법입니다.
같은 상황일때 상대습도를 60%로 낮춰주면 이슬점온도는 16.2℃로 떨어지게 됩니다. 실내온도를 낮추는 방법처럼 실내습도를 낮춰주면 결로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공기 중의 습도를 줄이는 최고의 방법은 제습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간혹 환기시설로도 가능하지 않는지 물어보시는요. 외부의 습도가 50%이하로 낮은 경우에는 가능합니다.
그러나 외부습도가 60%이상 높은 날에 환풍기를 가동하면 실내공기가 빠져나간 만큼 눈으로 보이지 않는 곳으로 습한 공기가 다시 채워집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습한 공기가 들어오면 실내습도는 다시 높아져 결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외부의 환경에 제약이 없는 제습기를 사용한다면 365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수 있으며, 결로와 곰팡이까지 해결할수 있습니다.
나우이엘 산업용 제습기 NED-210, NED-280P 대형제습기 창고 공장 추천 (0) | 2022.03.15 |
---|---|
물류창고 바닥 결로현상 해결방법 - 창고 제습기 NED-280P 추천 (0) | 2022.03.12 |
제습기의 원리 (가정용제습기와 산업용제습기 다 같습니다) (0) | 2022.03.02 |
공장용제습기로 제조공장 습기제거 (설치모델 나우이엘 NED-150) (0) | 2022.02.28 |
공장 / 창고 습기, 결로 해결해주는 공업용제습기 (0) | 2022.02.25 |
댓글 영역